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김희태 칼럼니스트
  • 칼럼
  • 입력 2022.11.21 15:29

[김희태 칼럼] 새 정부의 첫 수소경제위원회 개최, 수소 산업 어디로 가나?

우리가 경험한 일본의 수출규제, 요소수 품귀 사태에서 얻은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스타데일리뉴스=김희태 칼럼니스트] 새 정부의 첫 번째 수소경제위원회가 지난 9일 개최되었다. 수소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고 성장시키기 위한 정책 방향이 제시되었으며, 이를 함께 고민하고 추진하기 위한 제2기 민간위원 신규 위촉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번 회의는 새 정부 출범 후 처음 개최되었으며, 기존위원의 임기(2년)가 만료됨에 따라 새롭게 2기 민간위원을 위촉하였다. 산업계 위원을 기존 3명에서 5명으로 확대하며, 민간이 수소경제 컨트롤타워를 주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기도 했다. 지금까지의 수소 정책은 차량, 연료전지 등 주로 활용 분야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생산, 저장, 운송 분야에서는 경쟁국 대비 기술력과 산업 인프라 등이 부족했으며, 생산이 용이한 그레이 수소를 중심으로 생태계가 조성되면서 온실가스 감축 효과에 대한 논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레이 수소가 아닌, 그린 수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여건상 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충분한 양의 그린 수소를 확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수입을 통해 이에 대응하는 계획이 담겨 있다. 즉, 2050년에 국내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소 2,790만 톤 중 2,290만 톤은 해외에서 도입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수소 수출국(호주, 중동 등)과 활용국(EU, 일본, 한국 등) 간 국제 거래가 본격화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수소생산 역량의 한계에 대응하여 수입한 수소를 활용하여 청정수소 기반 생태계로 전환하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국내 수소생산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해외 현지 청정수소 생산시설 구축 시범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미 몇 번의 경험을 통해 교훈을 얻은 바와 같이 지정학적 리스크가 야기하는 공급망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준비가 필요하다. 경제성을 갖춘 청정수소를 수입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우리 기술력으로 테스트베드에 올리고, 궁극적으로는 청정수소를 우리가 생산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많은 연구비를 투입하고 있는 만큼, 단순히 기술을 개발하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경쟁력을 갖춘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생산기지 건설에 참여함으로써 수소 공급망을 선점해야 할 것이다.

수소경제는 탄소중립의 이행을 위해 필수적인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수소 활용 분야를 시작으로 우리가 가치사슬 전반에서 기술 경쟁력을 갖춰간다면 충분한 시장과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출처: 국무총리실 공식 블로그)
제5차 수소경제위원회 개최(출처: 국무총리실 공식 블로그)
모바일에서 기사보기